소설 진혼(4권과 외전) 2020. 1. 4 소설 진혼의 결말을 목빠지게 기다리는 동안 어느새 12월이 되었다. 전자책으로 3권까지는 정말 후루룩 읽어버렸는데, 바쁜 일정으로 인해 4권과 외전은 다 읽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션웨이와 자오윈란의 해피엔딩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과, 이대로 웨이란을 보내기 싫은 마음이 상충했던 건지도 모른다. 대망의 완결, 4권까지 읽고 나면 "아. 이건 가벼운 BL이 아니었어." 싶은 생각이 절로 든다. 상고시대 중국의 신화를 기반으로 한 서사가 너무 탄탄해서 기본 배경지식이 없으면 완벽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중국 신화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었던 나는 궁금한 부분은 나중에 더 찾아보고서야 조금은 이해가 갔다. 세계관을 이해하기 버거운 분들에게는 유튭에 올라와 있는 팬비드 영상을 보기를 추천한다. -일 만년의 애달픈 .. 소설 진혼(1권-3권) 2019. 11. 이 국내에 정발되었으므로.(물론 아직 E-book으로만 볼 수 있다. 종이책은 좀 기다려야함;) 영번역이 아닌 편하게 한국어로 소설을 읽기 시작했다. 읽고 나니 그동안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들이 분명하게 설명이 되기도 했고. 무엇보다 드라마상에서 잡스럽게 느껴졌던 서브 캐릭터의 서사가 다 빠져서 좋았다. 그리고 장르가 퇴마XBL이니까. 장르의 기본에 충실한 것도 맘에 든다. 션웨이와 자오윈란의 깊은 내력이 담긴 기본 창세서사(넘나 길고 복잡해서 아직 완벽하게 다 이해한건 아님;)가 일 만년의 역사를 잘 보여주고, 두 사람의 감정도 깊게 이해가 되는 것이 참 속이 뻥뚫리는 기분이었다. 드라마 캐릭터와 본체 배우 다 좋아하지만. 소설 캐릭터는 더 엄청난 마력을 가져서. 드라마를 보고 소설을 읽으니 정말 시너지.. 션교수의 치명적인 매력(feat.진혼) 2019. 10. 이 끝나고 롱롱을 앓다가 를 시작했다. 에서 주이롱이 연기한 '징란'은 이 시대의 찐유교남이라 빻은 소리만 해대고 (상큼한 롱롱의 외모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캐릭터에 정이 안 갔다. 내가 중드를 보는 이유는 (ONLY) 배우의 '잘생김'이다. 아무리 스토리가 거지개판이어도 배우가 잘생기면 다 용서가 되고 그 캐릭터를 사랑하고 있는 내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비주얼이 완벽함에도 불구하고 징란이 왜 이리도 실망스러웠을까 생각해보니 상대적으로 내가 의 션↗웨이↘를 많이 아끼고 좋아했단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많이 욕 하면서 봤지만. 션웨이(주이롱)를 알게 해준 참 소중한 작품이다. 내가 어쩌다 션교수님을 사모하게 되었는지 그 치명적인 매력에 대해 파헤쳐 보려한다. 진혼(镇魂) 장야 끝나고 나서부턴 내내 볼만한.. 진혼(镇魂) 2019. 10. 장야 끝나고 나서부턴 내내 볼만한 중드가 없나 기웃거리다가 트이타에서 '사회주의의 뜨거운 형제애의 맛'이라는 말에 영업당해 과연 중궈BL은 어떤 모습인가 궁금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중드는 한 번 시작하면 일단 기본 30~40화.(참고로 진혼은 40화짜리) 긴 사극은 60화까지 달려야 하므로. 신중하게 시작해야 한다ㅠ 물론 대충 넘겨 보는 사람들에겐 전혀 부담스러운 분량이 아니겠으나. 나는 두 번 보기 귀찮아서 처음부터 꼼꼼히 정주행 하는 타입이라. 다 보면 진이 빠진다. 정말 이번 주에 쉬는 날 많았지만 진혼 마지막 10화 몰아보니 혼이 나가겠더라.(야존이 내 혼을 다 빨아들였나보오. 야존 디멘터냐고오) - 기본적인 줄거리 은 가상의 세계인 '해성'이라는 곳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기본적으로 판타지이고 퇴.. 이전 1 다음 1/1